|
강의소개
1990년대 홍대 앞 라이브 클럽에서 2022년 방구석 사운드클라우드까지! 펑크(Punk)와 모던 록을 중심으로 싹을 틔운 한국의 인디 음악은 오늘날 장르와 형태를 가리지 않고 저마다의 개성과 매력으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인디 음악이란 무엇인지, 국내에선 어떤 흐름으로 발전해왔는지, 해외에선 어떤 사례가 있는지 함께 알아봅니다. 더불어 현재 활동 중인 음악인과 관계자를 만나 현장의 이야기도 들어보려고 합니다.
* 일시: 2022년 8월 3일 ~ 9월 7일 (매주 수요일, 6주 과정) 오후 7:30 ~ 9:30
* 장소: 빅퍼즐 문화연구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370-26, 2층)
* 강사: 음악평론가 정민재 (現 MBC FM4U < 4시엔 윤도현입니다 > 음악 작가)
* 수강료: 15만원 (*개별 강좌 신청은 문의 부탁드립니다.)
* 수강신청 기간: 2022년 6월 28일 ~
* 문의: 010-9460-2573
* 신청링크: (클릭 시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커리큘럼
1. 인디란 무엇인가 (8/3)
인디 음악의 대표적인 작품을 통해 인디의 개념과 용어, 의미를 정리해봅니다.
2. 한국의 인디 음악사 1 (8/10)
1990년대 홍대 앞 음악 신(scene)의 태동부터 2000년대 맞닥뜨린 위기까지 알아봅니다.
3. 관계자가 말하는 한국의 인디 음악 시장 (With 포크라노스 김현수 팀장) (8/17)
인디 음악 산업의 종사자와 오늘날 한국 인디 음악 시장에 대한 얘기를 나눠봅니다.
4. 아티스트가 말하는 한국의 인디 음악 시장 (With 싱어송라이터 강아솔) (8/24)
인디 음악의 대표적인 음악인과 함께 오늘날 한국 인디 음악에 대한 얘기를 나눠봅니다.
5. 한국의 인디 음악사 2 (8/31)
2000년대 후반 인디 음악의 부흥에서 오늘날 K-인디 전성시대까지 알아봅니다.
6. 주류의 흐름을 바꾼 해외의 인디 명작 (9/7)
벨벳 언더그라운드에서 서브 팝 레코즈와 엘리엇 스미스, 스트록스에서 재패니즈 브렉퍼스트까지!
|
강의소개
대중음악은 미디어 발전에 발맞추어 적응하고 진화해왔다. 기술 발전과 함께 발맞춰온 음악의 역사를 소개하고, 오늘날 가장 이슈로 떠오르는 숏 폼 콘텐츠, 유튜브, 소셜 미디어와 음악을 소개하며 대중음악과 미디어의 호흡 역사와 연결해 바라볼 수 있는 강의를 준비했다.
* 일시: 2022년 8월 13일 ~ 9월 17일 (매주 토요일, 6주 과정) 오전 11:00 ~ 13:00
* 장소: 빅퍼즐 문화연구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370-26, 2층)
* 강사: 음악평론가 김도헌
* 수강료: 15만원 (*개별 강좌 신청은 문의 부탁드립니다.)
* 수강신청 기간: 2022년 6월 28일 ~
* 문의: 010-9460-2573
* 신청링크: (클릭 시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커리큘럼
1. 개요 : 미디어와 음악 - 기술 발전과 함께 발맞춰온 음악 개요 (8/6)
오늘날 미디어가 음악에 끼치는 영향은? / 대중음악의 역사 속 미디어 발전과 함께한 변화사
2. 숏 폼 콘텐츠 : 틱톡,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즈 1 (8/13)
숏 폼 콘텐츠란? / 숏 폼 콘텐츠가 음악 시장에 가져온 변화는? / 숏 폼 콘텐츠 대표곡 소개 / 케이팝과 숏폼
3. 숏 폼 콘텐츠 : 틱톡,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즈 2 (8/20)
숏 폼 콘텐츠 시대 달라진 음악 제작, 홍보, 양식 구체적인 분석 / 숏 폼 콘텐츠의 위험 징후는?
4. 유튜브와 음악 (8/27)
유튜브가 음악 시장에 가져온 변화는? / 유튜브 시대의 히트곡 분석 / 유튜브 시대의 음악 특징
5. 소셜 미디어와 음악 (9/3)
소셜 미디어의 등장이 음악 시장에 가져온 변화는? / 케이팝과 트위터 / 트위터 사례 집중 분석
6. 마무리 : 오늘날을 통해 바라보는 미디어와 음악의 과거 (9/10)
마이크, LP, 텔레비전의 등장, MTV 개국 등 / 오늘날 숏 폼, 유튜브, 트위터 열풍 원조는?
|
소모임 소개
IZM ACADEMY의 포괄적인 음악 강의 대신, 현재 에디터들의 독특한 시각이 담긴 IZM 소모임은 특정 주제에 대해 보다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고 토의해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 일시: 개별 소모임 상이 (소개글 참고)
* 장소: 빅퍼즐 문화연구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370-26, 2층)
* 수강료: 7만원 (IZM MUSIC ACADEMY 강좌 수강 시 1개 소모임 2만원 할인)
* 수강신청 기간: 2022년 6월 28일 ~
* 문의: 010-9460-2573
* 신청링크: (클릭 시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2000년대를 기준으로 주류 문화에 입성한 EDM 산업과 더불어 전자음악이 오늘날 대중음악에 어떻게 침공했고, 또 어떻게 녹아들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무엇보다 일렉트로닉 음악을 좋아하고 이 분야에 대해 편하게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분이라면 누구든 환영입니다.
* 일시: 2022년 8월 3일 ~ 8월 24일 (매주 수요일, 4주 과정) 오후 4:30 ~ 6:30
* 강사: 장준환 편집장
커리큘럼
1. When a Fire Starts To Burn… (8/3)
EDM의 사전적 정의부터 발전 역사를 다룬 간략한 설명과 함께, 2000년대를 기준으로 클럽과 차트를 빛낸 전자 음악들을 알아봅니다.
2. Waiting For Love (8/10)
1주차의 연장선입니다. IZM EDM 특집에서 다룬 10명의 아티스트와, 추가적인 몇 명을 기준으로 EDM 에센셜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합니다.
3. We Found Love! (8/17)
유명한 분파에 대한 설명과 곡을 직접 들어보며 각자의 취향을 찾고, 본인이 발견한 장르나 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집니다.
4. Where Are U Now? (8/24)
앞서 들었던 곡들과 오늘날 우리가 위치한 시대와의 접점을 찾습니다. 또한 현재 케이팝에서의 일렉트로닉 운용과 하이퍼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단순 국가 분류를 넘어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은 K팝은 오락과 유흥만을 겸하던 예술에서 고도화된 산업으로 진화했습니다. 한국 현대사의 주요 순간들을 돌아보며 K팝의 산업화 과정을 정리해 보고, 앞으로의 K팝은 글로벌 문화 콘텐츠 시장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지 함께 상상해 봅니다. K팝을 향한 관심 하나면 모임의 문은 언제나 열려 있습니다.
* 일시: 2022년 8월 4일 ~ 8월 25일 (매주 목요일, 4주 과정) 오후 4:00 ~ 6:00
* 강사: 정다열 필자
커리큘럼
1. 그래서 K팝이 뭔데? (8/4)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흔히 통용되고 있는 'K팝'. 그 어원을 알아보고 특징적인 키워드에 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2.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 (8/11)
미디어의 발전이 키워낸 음악의 형태, '퍼포먼스'와 '오디션'에 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3. 아이돌, 그리고 아이들 (8/18)
한국 가요계만의 유별난 시스템, '연습생'과 '계약'에 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4. 시대가 요구하는 워너비 (8/25)
고객의 니즈에 기반한 전략 설정, '팬덤'과 '차트'에 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소수를 위한 취향이었던 '힙합'이 주류로 올라선 지도 많은 시간이 지났다. 언더그라운드 래퍼들은 < 쇼 미 더 머니 > 등 미디어를 통해 기회를 얻었고, 창모와 비오(B.O) 등 차트에서 심심치 않게 이름을 찾아볼 수 있게 됐다. 다만 급속도로 지지를 얻는 과정에서 잦은 래퍼들의 사건사고 등 여러 문제가 장르에 대한 대중의 편견을 갖게 한 것도 사실이다. 이에 이번 소모임으로 독자적으로 노선을 구축한 '국내힙합' 현장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서로 소통하며 오해를 풀어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한다.
* 일시: 2022년 8월 6일 ~ 8월 27일 (매주 토요일, 4주 과정) 오후 2:00 ~ 4:00
* 강사: 손기호 필자
커리큘럼
1. 국내 힙합의 시작 (8/6)
국내 힙합이란? / 국내 힙합의 시작 / 라임 전쟁 (버벌진트와 UMC를 중심으로)
2. 국내 힙합 크루 전쟁 (8/13)
국내 힙합의 르네상스였던 2000년대 중반을 중심으로
3. < 쇼 미 더 머니 >, < 딩고 > 매스 미디어의 등장. (8/20)
매스 미디어의 등장이 작은 터전이었던 국내 힙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장점과 단점.
4. 국내 힙합, NEXT STEP은? (8/27)
비오(B.O), 애쉬아일랜드 등 음원형 래퍼를 중심으로.
K팝은 키치(Kitsch) 문화일까요? 키치(Kitsch) 개념을 바탕으로 다른 예술 장르와 문화를 차용하고 전용하고 전유하며, 기술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발전하는 K팝의 특성과 사례를 분석합니다. 콘셉트, 스토리텔링, 버추얼 아이돌, IP 콘텐츠 등 음악 외적 요소를 중심적으로 살펴볼 예정입니다.
* 일시: 2022년 9월 3일 ~ 9월 24일 (매주 토요일, 4주 과정) 오후 2:00 ~ 4:00
* 강사: 정수민 필자
커리큘럼
1. K팝은 키치(Kitsch) 문화인가 (9/3)
키치의 개념: B급 문화? / 키치의 등장과 원료 / 키치와 캠프(Camp)의 비교: 싸이, 크레용팝 등
K팝의 키치적 특성: 문화적 차용/전용/전유
2. 스토리텔링 (9/10)
스토리텔링과 세계관의 개념/ K팝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시작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 보이그룹과 걸그룹의 스토리텔링 발전사 비교
3. 버추얼 아이돌 (9/17)
가상 아이돌의 등장: K/DA, 에스파 등 / 버추얼 아이돌: 아뽀키, 이터니티, 이 세계 아이돌 등 / 노래하지 않는 아이돌의 등장: 카카오페이지 <데뷔 못하면 죽는 병 걸림>, 백덕수 / K팝의 가상성
4. IP 콘텐츠 (음악 없는 K팝 콘텐츠) (9/24)
IP 개념과 세계관 / 초기의 K팝 IP 비즈니스 사례: LINE BT21, 모바일 게임 등 / 메타버스와 K팝 팬덤 플랫폼: 디어유, 위버스 등 / NFT 포토카드 도입을 반대하는 팬덤?